자기소개서, 연구계획서 등을 쓰는 데에 참고할 만한 작은 팁들을 공유하겠습니다. 공문에 심사 기준이 나와 있습니다. 매년 크게 달라지지 않으니 작년 공문을 기준으로 미리 써두시면 도움이 될거예요. 점수별로 나뉜 심사 기준을 기본 틀로 잡고 써내려갔습니다.
자기소개서
1. 관련 업무 및 교육활동 경험
저는 과학정보부에서 일한 경험이 없고, 부장 경력도 없어서 이렇게 긁어다가 썼지만, 굵직한 업무 많이 맡고 연구 많이 하신 분들은 쓸 말이 많을 것 같아요.
실제로 내가 인공지능 관련 수업을 한 차시라도 해본 것을 떠올려보았습니다. 일단 무엇이든지 관련있는 내용은 모조리 적어보고 나서, 관련 내용을 인터넷으로 찾아보며 살을 붙이고, 그 중에서 가장 그럴듯 한 것만 남겨서 사용했습니다. 실제로 수업할 때보다 지원서 쓰면서 공부한게 더 많은 것 같은...ㅎㅎㅎㅎㅎ저는 우선 AR, VR, 태블릿 어플 등등 관련될 수 있는 것은 모조리 끌어와서 써봤어요. 이렇게 브레인 스토밍을 하고 나면 쓸만한 게 나오더라구요. 요즘에는 온라인 수업 많이들 하시니까 그 플랫폼에서도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교육과 연결할 수 있는 것들이 무궁무진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 내가 생각하는 미래교육
이 부분은 다소 막연해서 관련 자료를 찾아보고 몇 가지 항목으로 나눈 뒤 제 생각을 덧붙여 적었습니다.
- 2021년도 교육정보화 시행계획
- 에듀넷 티클리어의 AI, SW 교육 관련 게시판
- 교육부 사이트에서 미래 교육 관련 자료, 인공지능 교육 정책 검색
연구계획서
1. 대학원 과정에서의 연구 계획
우선은 다른 분들이 쓴 연구계획서를 많이 읽어보았습니다. 교육대학원, 일반대학원 등등 구글에 검색해서 나오는 것을 1차로 읽어보고, 해피캠퍼스 등에서 돈을 주고도 읽어보았습니다. 사실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았지만, 어느 정도의 방향성을 잡는 데에 참고했어요.
가장 많이 참고했던 것은 공문에 있는 학과 교육과정입니다. 5학기동안 필수로, 선택으로 들어야 할 과목들이 정리되어있어요. 그 중에서 수강하고 싶은 과목을 몇가지 골라보고 그것과 연결해서 연구해보고싶다는 내용을 썼습니다. 대학원 준비하면서 공부했던 내용, 연수 들었던 내용과 대학원 가면 공부하게 될 내용을 연결지어서 썼습니다.
2. 졸업 후 연구 또는 활동 계획
근무하시다보면 교육청에서 여러가지 사업들이 많이 진행되는 것을 알고 계실거예요. 그런 사업들과 졸업 후 연구 계획을 연관지었습니다. 아무래도 1차 선발은 교육청에서 하다보니, 실제로 진행되는 사업과 연결지으면 좀 더 현실성있게 다가갈 수 있을 것 같아서였기 떄문입니다.
정리하자면
- 자기소개서에서는 (쓸 내용이 정말정말 부족하다면) 한 차시라도 직접 수업 해본 내용 끌어와서 써보기
- 에듀넷 티클리어 AI,SW 교육 연구 보고서, 교육과정, 교과서 등 읽어보기
- 교육부 사이트에서 미래교육, 인공지능 교육 관련 정책 계획 읽어보기
- 대학원 연구계획서 구글링, 해피캠퍼스에서 구입하여 읽어보기
- 공문에 정리된 5학기동안의 학과 교육과정 참고하기
- 교육청에서 진행하는 관련 사업 문서등록대장에서 검색하고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연결짓기
교육 경력이 짧은 신규 선생님들, 인공지능 융합 교육 과정을 배우고 싶지만 관련 경력이 적은 선생님들께서 참고하실 수 있도록 작은 팁이나마 적어보았습니다. 알맹이가 적으면 포부라도 크게 보여주자라는 생각으로 이것저것 서치를 많이 했던게 도움이 되었었습니다. 제 글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
'AI > 성균관대 인공지능(AI) 융합교육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균관대 인공지능(AI) 융합교육 전공 대학원_입학 전 도움이 된 공부 feat. 문과 (0) | 2022.02.24 |
---|---|
성균관대 인공지능(AI) 융합교육 전공 대학원_ 입학 후기 (0) | 2022.02.24 |